시작하고보기

안녕하세요! 골든 증권입니다. 오늘은 대용금, 정산금액, 계좌 단위 증거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용금, 정산금액, 계좌 단위 증거금이란?

대용금, 정산금액, 계좌 단위 증거금

오늘은 투자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인 주식 대용금, 예수금, 증거금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투자를 처음 접하는 투자자들은 처음 접하는 낯선 용어에 어려움을 느낄 수가 있는데, 투자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반드시 알고 넘어가야 하는 개념이기도 합니다. 각각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수금

첫 번째는 예수금입니다. 예수금은 투자자가 거래를 하기 위해서 증권 계좌에 납입한 금액을 말합니다. 거래를 목적으로 증권 계좌에 100만 원을 입금했다면 예수금은 100만 원이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만약 매수를 목적으로 100만 원 중 50만 원을 사용했다고 한다면 예수금은 50만 원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쉽게 말하면 거래를 할 수 있는 순수한 금액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증거금

두 번째는 증거금입니다. 해당 용어는 투자에서 처음 접하는 투자자들이 많을 것입니다. 일종의 보증금이라고 생각을 하면 쉬운데, 주식 대용금과는 조금 다릅니다. 투자를 하다 보면 각 종목마다 증거금률이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종목에 따라서 20%를 가지는 것과 30%, 40%, 100% 등 다양한 퍼센트가 적용되어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계좌 단위 증거금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우선 국내 시장의 결제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국내 장에서는 D+2라는 거래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고 보셔야 합니다. D+2 거래 시스템이란 매수 / 매도를 했을 때 매수 / 매도에 사용된 돈이 증권 계좌에 입금, 출금되는 시기가 매수 / 매도를 진행한 날로부터 2 거래일 후인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A라는 종목을 1일 날에 매수를 했다고 가정하면 매수 다일인 1일에는 매 수금 전체가 출금되는 것이 아니라 보증금만 출금되고 나머지 금액은 2 거래일 후인 3일 날 출금되는 것을 말합니다. 마찬가지로 1일 날 보유를 한 종목이 매도를 했다고 한다면 매도 금액이 매도 당일로부터 2 거래일 후인 3일에 입금이 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거래 시스템이 바로 D+2 거래 시스템인데, 매수 당일 출금되는 매수 보증금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보겠습니다. 증거금률이 40%인 A 주식을 100만 원 매수를 하려고 합니다. 여기서 A의 증거금률이 40%이므로 A 종목을 매수하는데 필요한 보증금은 100만 원의 40%인 40만 원이 필요합니다. 즉 매수 당일 40만 원이 출금되어 빠져나가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나머지 금액인 60만 원은 2 거래일 후에 출금되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그 개념이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이 때문에 투자자는 보다 많은 것을 매수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투자자가 보유한 원금보다 더 많은 금액을 매수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미수거래인데, 미수거래 또한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앞서 언급을 했듯이 이로 인해 투자자는 매수 당일 매수에 필요한 보증금만 출금됩니다. 따라서 보증금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으로 매수가 가능합니다. 이것이 바로 미수거래입니다. 레버리지 투자라고 불리는 미수거래는 투자자가 보유한 원금보다 많은 금액을 가지고 투자가 가능하다는 점이 있습니다. 이렇게 미수 거래를 통해 수익이 발생하면 보다 많은 수익을 기대를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손실이 발생한다면 원금 투자 대비 더 많은 손실이 발생을 할 수 있습니다.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투자법으로 경험과 실력이 부족한 투자자가 잘못 사용하면 큰 손실을 볼 수 있는 위험한 투자법이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미수거래는 일종의 신용거래로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서 거래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한 투자금을 증권사에 갚아야만 합니다. 사용한 금액에 대한 이자나 수수료는 발생하지 않지만 빌리는 기간이 3일로 매우 짧은 것이 특징입니다. 만약 3일 동안 미수거래에 사용한 돈을 갚지 못했다고 한다면 증권사에서 보유를 한 것을 시장가로 자동 매도 처리하고 일정 기간 동안 미수 사용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대용금

마지막으로 대용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용금이란 보유하고 있는 주식 정산금액을 담보로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말합니다. 다시 말해서 보유한 주식이나 채권 등에 대한 평가 금액으로 현금 인출은 불가능하지만 일부 현금을 보유하고 있을 때 대용금을 이용하면 더 많은 주식 매수가 가능합니다. 역시 투자 원금보다 많은 돈으로 투자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또한 미수거래로 분류가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대용금, 정산금액, 계좌 단위 증거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